티스토리 뷰
목차
[3편] 기초연금 수령액과 감액 기준 – 2025년 실수령액은?
안녕하세요. 썬샤인73입니다. 😊
기초연금 시리즈 [3편]에서는 실제로 받는 금액이 얼마나 되는지, 부부가 함께 받을 경우 어떻게 감액되는지를 알려드릴게요.
연금 액수까지 꼼꼼히 알아야 부모님께 제대로 도움을 드릴 수 있어요.💰
2025년 기준, 기초연금 수령액은 얼마인가요?
2025년 기준 기초연금 최대 수령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 단독가구: 월 최대 40만 원
- 부부가구: 월 최대 64만 원 (1인당 32만 원 수준)
하지만 모든 분들이 이 금액을 받는 건 아닙니다. 소득인정액이 많거나 부부가 동시에 수급하는 경우 일부 감액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감액 기준, 왜 감액되나요?
기초연금은 ‘더 어려운 분’에게 우선 지원하는 방식이라, 소득인정액이 높을수록 감액됩니다.
또한 부부가 함께 받으면 일정 부분 중복 지원으로 간주되어 부부감액이 적용됩니다.
부부가 같이 받으면 얼마나 줄어드나요?
2025년 기준으로 부부가 함께 수급할 경우, 각각의 연금액에서 약 10~20% 정도 감액되어 1인당 약 32만 원 정도 수령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단독 수급 시: 40만 원
- 부부 수급 시: 각 32만 원 (총합 64만 원)
그래도 두 분이 함께 총 60만 원 이상을 받으실 수 있으니, 놓치지 말고 신청해야겠죠?😉
국민연금 받고 있어도 기초연금 받을 수 있나요?
네,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은 중복 수령이 가능합니다.
단, 국민연금 수급액이 일정 기준 이상이면 기초연금이 감액되거나 제외될 수 있어요.
정확한 수령 가능 금액은 복지로 모의계산기를 꼭 활용해보세요!🧮
소득인정액과 감액 관계 예시
아래는 수급 예상 금액 예시입니다 (2025년 기준).
- 소득인정액 0원 (저소득층): 전액 수령 (40만 원)
- 소득인정액 100만 원: 일부 감액 (약 30만 원)
- 소득인정액 202만 원 초과: 수급 제외
단, 지역·가구 유형·재산구성 등에 따라 실제 금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마치며
오늘은 기초연금의 실제 수령액과 감액 기준을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단독 수급과 부부 수급은 받는 금액이 다르고, 국민연금과도 영향이 있으니 꼭 확인해야 합니다.
복지로 모의계산기로 우리 부모님의 예상 연금액부터 계산해보세요!👵👴
📌 다음 편 예고
[4편]에서는 기초연금 신청 방법과 준비 서류를 정리해 드릴게요.
“어디서? 어떻게? 뭘 준비하지?” 궁금하신 분은 꼭 다음 편에서 확인하세요!📝
#기초연금 #기초연금수령액 #기초연금감액 #기초연금2025 #부부감액 #복지로 #정부지원금 #노후복지
'기초연금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6편] 기초연금 수급자 추가 복지 혜택 총정리 (5) | 2025.05.21 |
---|---|
[5편] 기초연금 신청 후 유의사항과 유지 조건 (6) | 2025.05.20 |
[4편] 기초연금 신청 방법과 준비 서류 총정리 (0) | 2025.05.19 |
[2편] 기초연금 수급 자격과 선정 기준 – 부모님 받을 수 있을까? (0) | 2025.05.17 |
[1편]기초연금이 뭐예요? – 2025년 최신 기준 핵심 정리 (0)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