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썬샤인73입니다 😊
지난 시간에는 종합소득세를 언제, 어디서, 어떻게 신고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죠.
이번 글에서는 그보다 더 중요한 내용인 ‘소득 유형별 신고 방식’에 대해 정리해드릴게요.
사람마다 수입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어떤 소득은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고, 어떤 소득은 꼼꼼한 정리가 필요합니다.
사업소득, 근로소득, 기타소득, 연금소득 등 총 6가지 소득별 신고 방법을 꼭 알고 가세요! 💸📊
1. 📦 사업소득 신고 요령
사업소득은 대표적으로 자영업자, 프리랜서, 1인 사업자가 해당됩니다.
👉 지출 증빙과 경비처리가 관건이며, 다음 항목들을 꼼꼼히 준비해야 합니다:
- ✔️ 카드매출, 현금영수증 내역, 세금계산서 발행 내역
- ✔️ 경비(임대료, 광고비, 교통비 등) 증빙
- ✔️ 인건비·4대보험 신고 내역
💡 소규모 프리랜서라면 간편장부 대상자로 신고할 수 있어 절차가 간단해질 수 있어요.
2. 🧾 근로소득 신고 요령
일반 직장인의 경우 회사가 연말정산을 해주기 때문에 별도 신고할 필요는 없어요.
하지만 두 군데 이상에서 급여를 받은 경우, 또는 부업으로 소득이 있는 경우는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 ✔️ 주된 근로소득 + 부수입 합산 신고
- ✔️ 프리랜서 부업 시 → 사업소득으로 별도 신고
예를 들어 회사원인데 유튜브나 블로그 수익이 있다면, 근로소득 + 기타소득/사업소득을 합산해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합니다. 🧮
홈택스 자동계산 기능을 활용해도 편리해요!
3. 💳 이자·배당소득 신고 요령
금융소득(이자소득+배당소득)이 연 2천만 원 이하면 대부분 원천징수로 끝납니다.
하지만 2천만 원을 초과하면 👉 종합과세 대상이 되어 반드시 신고해야 해요.
국세청은 금융기관 자료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누락 시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꼭 조회해서 포함시켜 주세요! 📊
4. 💰 연금소득 신고 요령
공적연금(국민연금 등) → 대부분 과세제외 or 연말정산 반영 개인연금/퇴직연금 등 → 일정액 이상일 경우 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 연 1,200만 원 초과 시 신고 필요! 홈택스 소득자료조회 > 연금탭에서 확인 가능 ☑️
5. 🎁 기타소득 신고 요령
강의료, 원고료, 일시적인 수입(포상금 등)은 ‘기타소득’에 포함됩니다.
원천징수(보통 8.8%)가 되지만, 총합 기준 300만 원 이상이면 신고 대상입니다.
💡 강의 활동이 잦다면 기타소득보다 ‘사업소득’으로 전환해 경비처리가 더 유리할 수도 있어요!
✅ 마치며 – 내 소득은 내가 제일 잘 안다!
종합소득세는 ‘소득을 종합해서 낸다’는 개념인 만큼, 내가 어떤 종류의 소득을 얼마나 벌었는지를 정확히 분류하는 것이 시작이에요.
이 글을 통해 내가 어떤 유형의 신고 대상자인지 파악하셨다면, 다음 편에서는 ‘절세 꿀팁 & 공제 항목 정리’를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 본문 내용 중 궁금한 점, 헷갈리는 항목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글에서 여러분의 질문을 함께 풀어드릴게요 😊
🏷️ 관련 태그
#종합소득세 #소득유형별신고 #프리랜서세금 #직장인부업 #근로소득신고 #사업소득경비 #기타소득 #썬샤인73시리즈 #2025종합소득세 #세금정보
'세금 > 종합소득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6편] 종합소득세 자주 묻는 질문 TOP 10 (8) | 2025.04.29 |
---|---|
📌 [5편] 종합소득세 신고서 작성 실전 예시 (0) | 2025.04.28 |
📌 [4편] 2025 종합소득세 절세 꿀팁 & 공제 항목 정리 (8) | 2025.04.25 |
📌 [1편] 2025 종합소득세란 무엇인가요? (6) | 2025.04.20 |
📌 [2편] 종합소득세 홈택스 손택스 신고 방법 총정리 (0) | 2025.04.20 |